이 글은 ZL2BMI 의 QRP DSB 송수신기에 대해 글쓴이(DS1ORJ)의 개인적 견해를 포함, 아마추어 무선 관점에서 기술한다. 소개할 무전기 회로는 중간 주파수가 없는 "직접 변환 DSB 송수신기" 이다. 중간 주파수가 없는 직접변환(Direct Conversion, DC) 방식에 대해서는 이전 게시물에 기술하였으니 참고한다. https://ds1orj.tistory.com/220 직접 변환 수신기, Direct Conversion, Zero IF, DSB, DCR아마추어 무선 관점에서 볼 때 수신기의 구조가 가장 간단하면서도 성능 좋은 방식은 당연히 DC(Direct Conversion) 수신기 이다. SSB 수신이 목적이라면 직접 변환이 최소한의 부품으로 안정적 수신이ds1orj.tistor..
여기서는 AT-120, AT-130 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블럭도는 아래와 같다(AT-120) 컨트롤 라인은 4 가닥이 사용되는데 두개는 전원선이고 나머지 두개는 튜너의 컨트롤 라인이다. 컨트롤 라인은 리그와 협업하여 작동한다. ※ 튜너 측 작동은 아래와 같다. START 라인은 입력이고 HIGH 로 풀업 되어 있다. START 라인에 LOW 신호가 들어오면 튜닝을 준비하고 KEY 라인을 "LOW" 레벨로 만든다. 상기 작동에서 START 라인이 튜닝 중 지속해서 LOW 레벨로 유지될 필요는 없으며 튜너에 따라 일정시간 (50~200ms 이상) 만 LOW 레벨을 주면 된다.(즉 튜닝 개시 LOW 펄스 신호) ※ 리그 측 작동은 아래와 같다. 튜닝 스위치를 누르면(또는 자동으로) 튜너에 연결된 START ..
진공관 시대의 무전기는 이제 거의 퇴역하고 없지만 진공관과 반도체(속칭 Solid State)를 혼용한 무전기들은 아직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켄우드의 속칭 "하이브리드 방식" 리그인데, 이것을 두고 흔히 진공관 방식이라 말하지만 출력단(Final) 과 출력 드라이버까지만 진공관이고 나머지 송수신 계통은 전부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관 방식을 포함한 이러한 구세대 리그들은 VFO 가 PLL 방식이 아닌 관계로 요즘 리그에 비해 주파수 안정성이 떨어진다. VFO 가 Free run(자유실행) 상태의 발진기인 만큼 사용 환경(특히 온도)에 의해 운용 주파수가 드리프트 하는데, 그 정도는 리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방식의 VFO 는 온도, 전압 변동, 기계적 안정..
이 키트는 국산으로 십여년전 DS1DHP 오엠이 국산화 한 것이다. 당시에 직접 통화를 하고 구입하여 조립했다. (※ 참고로 이 키트를 개국 초기에 사서 조립했으나 현재까지 QSO 실적은 없음) 쓰지도 않고 나이만 먹은 장비 원래 이 키트는 NorCal (Northern California QRP Club) 에서 만든 것으로 되어 있다. NorCal 에서 만든 QRP 키트는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것도 몇가지 있고 매번 다른 회로와 부품으로 새로운 QRP 리그를 설계해서 내놓고 있다. 각설하고 이 키트의 원래 회로를 아직도 못찾았다. 어디선가 변형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찾을 수가 없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메뉴얼상의 회로만이 가진 정보의 전부이다. (구할 수 있는 것은 NorCal 40, 40A 의 회로도 뿐)..
This document is written in English for overseas OMs. -DS1ORJ- LCD contrast of TH-9800 is too low. Almost invisible when viewed from upper side. It cannot be adjusted in the menu. In the circuit it is set to a fixed value. I read an idea about it on some forum. Then I changed the value and it worked. VLCD is the voltage that adjusts the contrast. Low voltage means high contrast. High voltage is ..
yaesu vx-5r 의 키패드 수리 출시된지 꽤 오래된 장비이고 해외 오엠들도 동일한 현상 및 국내 오엠들도 맞찬가지인거 같습니다. 저 역시 20년 가까이 운용하니 문제가 생깁니다.(실사용 횟수는 얼마 안되므로 키패드 자체의 제조 결함으로 판단합니다) 증상은 처음에 전원이 매우 어렵게 들어옵니다. 전원버튼이 안먹음. 상기 이유로 고저항으로도 버튼이 작동하도록 개인적으로 회로상의 부품을 변경했습니다. 2..3년 정도 버텼습니다만 다시 증상이 시작되고 이제 전체 키패드가 거의 먹통이 됩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냥은 잘 안붙기 때문에 접착제 필요로 합니다. 저는 빠른 결과를 보기위해 아크릴계열의 순간 접착제를 썼습니다만 저렇게 물렁물렁한 재질에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일반(돼지본드) 추천 합니다. 6..
7MHz(40M) 밴드는 항상 시끄럽죠. 거의 항상 DX 교신이 가능하다보니 2009 년부터 7000~7200 으로 으로 확장 되었네요. 그동안 안보고 살았더니, 상대적으로 국내에서는 7200 쪽은 조용하네요.아마도 기존 RIG 자체가 7100 까지로 설정된 탓도 있거니와홍보가 안된 이유도 있을거 같네요. 국내에 적용은 안되겠지만 IARU 에서 햄용으로 새로 배당된 137KHz(2200M) 밴드도 있습니다.LF 밴드고, 한가지 아쉬운 점은 안테나 출력이 1W 로 제한되어 있습니다.2200M 파장에 맞는 다이폴은 국내 실정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테나 효율이 형편없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종단출력은 꽤 되어야 할거 같고요.해외에서는 QRP 중심으로 이미 다양한 실험이 이뤄지고 있지요. 밴드폭이 좁은 ..
출처 : http://www.aoc.nrao.edu/~pharden/hobby/Hobby.shtml맨하탄 스타일로 만든 수신기 완성품(아래 URL) : http://www.aoc.nrao.edu/~pharden/hobby/DR2_PIX1.pdf 이런 회로를 재생식 수신기라고 합니다. 옛날에는흔한 방식이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거의 쓸 일이 없습니다. 재생식이라는건, 1개의 TR(혹은 진공관이) 증폭한 신호를 다시 증폭시키도록(되먹임, 피드백, 정궤환 모두비슷한 말 입니다)만드는 것 입니다. 사실,이러면 발진회로가 되는데, 되먹임의 강도를 조절하여 발진 바로 직전에 멈춰두는게 이 방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지요. 1개의 TR 로 고주파와 오디오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 리플렉스 방식 수신기와는 다릅니다. 혼동..
QRP 자료를 조금 뒤지다 보면 NA5N(Paul Harden)님의 자료를 심심치 않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NA5N OM 님의 개인페이지를 보면아마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분, 만약 국내에 있었다면공돌이 라는 비속어로 취급되는게 한국의 현실 이지요.. 하하..http://www.aoc.nrao.edu/~pharden/를 방문하시면 이 분이 무슨 일을 하는지 대략 알 수 있습니다.보는 바와 같이 VLA(Very Large Array) Radio Telescope (매우 크게 배열된 전파 망원경) 관련 일을 하고 있나 봅니다. VLA 를 확장해서 EVLA 를 만드나본데, 그에 관련된 일인가 보네요. 소개에 보면..New Mexico 주에 Socorro 의 국립 전파 ..
BCL 이란? http://blog.paran.com/qrp Broad Cast Listen 의 약자로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하는 일(취미)를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모든 방송을 일컬어서 위성TV 신호나 인접국가의 TV 신호, FM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것도 해당되지만 대부분 주로 단파를 수신하는 취미를 말합니다. 단파만을 수신하는 것은 SWL(Short Wave Listen)이라고 따로 칭하지만 BCL 에 포함되므로 굳이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단파 수신에 대한 더 자세한 것은 아래를 방문하십시요. http://home.megapass.co.kr/~jsamen/main.htm 단파월드 라고 하는 곳이며 이 곳에서 각종 정보(방송 주파수, 노하우, QSL 카드 정보 등)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