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F,HAM,Radio/Amplifier6

Class E 증폭기(2) E 급증폭기의 실제 입니다. (출처 QST지) 작동 블록도보는 바와 같이 120V 기준 입니다.일본과 미국에서는 110V 를 주로 사용 하지요. 회로도 입니다, 300W 와 500W 버전 둘다 있습니다. 300W 및 500W 에서SX-200 으로 측정한 입력전력 대 효율 그래프 2009. 9. 27.
Class E 증폭기(1) CLASS A, AB, B, C 까지는 아마 다들 아실 겁니다.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A급은 신호원의 마이너스(편의상)까지도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바이어스가 높게 걸립니다. 전압 증폭율이 1 이라고 가정하고, 입력이-5V, 0, +5V 로 요동치고 있다면, 입력 -5V때출력은 0 이고, 평상시(입력이 0 일때)에는 +5V 가 출력 되는 상태지요.선형성은 매우 좋지만 효율이안좋습니다. 주로, 소신호 증폭에 쓰입니다.출력에 DC 성분이 있으니까, DC 를필터링(블러킹) 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나 콘덴서가 필요 합니다.AB 이나 B급은, 바이어스를 제로에 가깝게(혹은 제로로) 만든 것 입니다. 입력이 0 이면 출력도 0 입니다. 주로 전력 증폭에 쓰입니다.효율도 괜찮고 선형성도 괜찮습니다 그래서 가장 .. 2009. 9. 26.
1KW 리니어 설계 자료 1253848757_AN758300Sharp.pdf역시 모토롤라사의 어플리케이션 노트 AN-758 입니다. 300W리니어 4개를 결합시켜 1Kw 출력을 얻도록 하는 설계 방법 입니다. 전원전압은 40~50V 를 사용 합니다. 1kw 급에서 13.8V 사용하면... 총 전류가 100A 가 넘어가므로.. PCB 와배선 두께의 압박이 옵니다. 50V 가 되면 20A 부근에서 설계가 가능하니까 수월하지요. 2009. 9. 25.
모토로라 리니어 증폭기 설계자료 모토롤라 사의 "LINEAR AMPLIFIERS FOR MOBILE OPERATION" 문서 입니다. 어플리케이션 노트 AN-762 타겟은 1.6~30MHz 까지의 광대역 리니어 앰프 입니다. 전압은 13.6V 로 차량용 이고, 물론 베이스 용으로도 쓸 수 있지요. MRF 455, MRF 454, MRF 421 를 각각 사용할 수 있고.. 100W, 140W, 180W 버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각 소자의 값선정이나 PCB 패턴 등은 문서 내에 나와 있습니다. 1253848197_AN762Sharp300.pdf 2009. 9. 25.
HF 200W 증폭기 흠.. 이놈은... 200W 증폭기다. 보는 바와 같이 SD1446 두개로 PUSH-PULL (PP, 밀고 땡긴다고 생각하면 된다) 증폭을 한다. 이 놈... 확실히 국산이다. 어느 회사에서 만들었는지도 안다.. 하지만... 그냥 모른 채 하고 넘어가자.. 요런 기판이 신기하게 보이는 분들도 있을지 모르겠다. 아랫쪽에 커다란 저항들은 50옴 어테네이터(ATT,감쇄기) 이다. 위에 좀 큰 트로이덜 코어가 보인다.. 좌측은 출력용, 우측은 입력용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 이다. 여태까지 봤던 리니어와 다르게 왜 트로이덜 코어인가의아해 하는 분들이 있을텐데.. 이놈의 설계 당시... HF 대를 커버하는 광대역으로 했기 때문이다. 권선비는 SD1446 의 입출력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바꾸도록 되어 있다. 물론 Pu.. 2009. 6. 26.
요늠은 27MHz 100W 증폭기 흠 원래는 28MHz 햄용 이라지만.. 뭐 27MHz 에도 별반 다를거 없이 쓸 수 있다. 출력 TR 은 SD1446 을 쓰고 100W 정도 나온다. SD1446 은 SGS-THOMSON사 제품이다. 비교적 고가의 부품이다.단품으로 살려고 해도 몇만원 줘야된다.. ToT그래도 모토롤라 MRF 시리즈 보다는 싸긴 하지만.. -_-. SD1446 은 통상적으로 HF 밴드의 100W 출력 용도이다. 스펙상 비슷한 MRF-255 보단 좀 부실하게 생겼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고출력용(100W 급의)TR 은안만드나 보다. 저출력용(10W)은 KEC에서 만들었는데 지금도 나오는지는 모른다 -_- 이것도 뭐 별거 없다. 국산으로 추정되며. 일제보다는 참 저렴하게 만드셨다는걸 알 수 있다. 2009.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