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축 코리니어 Coaxial Collinear COCO 안테나

이 안테나의 정식 명칭은 Coaxial Collinear 라고 하고 줄여서(속칭) COCO ( COaxial COllinear ) 라고도 한다. 

 

인터넷에는 이론상으로는 완벽하지만 실제로는 기대 만큼 작동하지 않는 것들이 대부분이므로 최소한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통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분석해본다.

 

이 안테나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etc-image-0

 

https://discussions.flightaware.com/t/coco-coaxial-collinear-antenna-tips-tricks/69144/4

 

Coco (Coaxial Collinear) Antenna - Tips & Tricks

Some of the Large number of Flavours of Coco Found on the Web This drawing does not cover all configurations of Coco available on web/ youtube. Lot of configurations on web / youtube do NOT use sleeve balun at feed point of Coco. I have made this drawing i

discussions.flightaware.com

 

정말 쉬워 보인다. 

 

코리니어 안테나가 제 성능을 내려면 각 단이 "동일한 위상" 으로 급전 되어야 한다.

전통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페이즈 스텁(또는 코일)을 이용하여 위상을 정렬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아래 보는 바와 같이 반대 위상은 분기 도체 를 통해 우회하고 동위상에서만 방사하도록 한다.

결과는 이득의 상승. 

etc-image-1

 

동축 구조를 사용하여 이 효과를 달성하려면 1/2 파장 길이(위상이 반전되는 지점)마다 중심도체와 외부도체를 교차시키면 이론상 작동한다.  그러나 동축 케이블의 표면과 내부는 전파의 진행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면 동위상 급전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즉, 내부도체는 단축률(Velocity Factor) 의 영향을 받으므로 진행이 느려지지만 바깥(실드)쪽은 내부 도체 만큼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내부와 외부가 바뀔 때마다 위상차가 발생하며 완벽한 동위상 급전이 되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한 것은 이미 존경하는 VK1OD Owen Duffy 오엠이 시뮬레이션과 함께 기술하였다. 

https://owenduffy.net/blog/?p=5053 

 

Yet another dodgy coax collinear II – owenduffy.net

At Yet another dodgy coax collinear I wrote about a design published recently in QST. More recently, a ‘design’ has emerged in eHam forums that appears to be identical. These antennas are intended to be some number of close spaced co-phased half waves

owenduffy.net

 

https://owenduffy.net/antenna/scc/index.htm

 

Silicon Chip Collinear

Silicon Chip Collinear *** DRAFT *** (Tester 2013) described a coaxial collinear array for VHF/UHF. Tester describes the antenna a collinear is a vertical antenna whose resonant elements are connected along a common line (ie co-linear) so that each element

owenduffy.net

 

개인적으로 급전선 외피에 일정 유전율을 가하여 VF 를 중심도체와 비슷하게 만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이미 비슷한 아이디어를 누군가 제공한거 같다. owen duffy 의견에 따르면 외부도체에 동일한 단축률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현하기는 어렵다.

https://owenduffy.net/blog/?p=16560 

 

Coaxial Collinear – dielectric loading the outer conductor – owenduffy.net

Recent discussion with a correspondent about the design issue of the so-called Co-Co collinears, vertical collinears made with alternating sections of common coax ranged onto the conflict between the phase velocity of the wave on the inside of the coax and

owenduffy.net

 

이 안테나가 완벽하게 작동하기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내 외부가 동일한 단축률을 갖는 VF 가 1.0  동축 케이블 (이론상 가능)

2. 완벽한 밸런스 급전 (이 안테나는 밸런스 안테나로 작동한다, 레디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바룬이 필요함. )

3. 임피던스 매칭

 

아래부터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본다.


1. RG-6  8 단 동축 코리니어 시뮬레이션

 

인터넷 포럼에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올려 있는 것을 발견했으므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접 실행 해본다.

※ 참고로 이 안테나는 ADS-B (항공기 정보) 수신용으로 디자인된 것이다.

  

https://forum.flightradar24.com/forum/radar-forums/technical-matters-hardware/10609-coco-antenna-2-4-6-8-12-elements-simulation-results

 

CoCo Antenna - 2, 4, 6, 8 & 12 Elements - Simulation Results - Flightradar24 Forum

Alternative receivers, antennas, amplifiers, connectors, adapters and general technical matters. No Flightradar24 issues.

forum.flightradar24.com

 

4NEC2 5.9.3 과 신버전의 NEC 엔진을 사용한다.

 

아래처럼 이득은 그럭저럭 나오는 것 같다.

etc-image-2
Auto Segment 로 재실행

아래는 위상 분포, 정렬이 되지 않고 엉망인 모습.

etc-image-3

예상대로 대부분 동위상 급전이 안되고 있기 때문에 8 단이나 쌓았는데도 이득이 8dBi 정도 나온다. 

이 길이는 VHF 2 미터 기준으로 8미터(실제로는 단축율로 짧아진다)에 가까운 길이이다.

 

방사효율이 102.4% 를 넘어갔으므로 AGT (Average Gain Test 평균이득테스트, 영점을 잡아야 할 때 사용한다) 를 수행한다.  AGT 를 수행해서 이득이 더 나오면(1.0 기준값),  시뮬레이션 이득에서 빼야한다.(최소한의 보상)

AGT 를 반영하면 7.48 dBi 의 이득이 나온다.   (다이아몬드 3단 GP 안테나의 VHF 이득이 8.3 dBi 이고 길이가 5.2 미터 이다. 그래도 좋은 소식은 안테나가 작동 한다. )


2.  VHF 4 단 수직 코리니어 GP 시뮬레이션 (동축 케이블이 아님, 코일 사용)

 

아래는 개인적으로 모델링한 VHF 2M 용 수직 코리니어 (4단) 이다. 

위상 반전은 코일을 사용한다.

 

etc-image-4

AGT 테스트에서 -0.3 dB 가 나왔으므로 7.75 dBi 의 이득을 갖을 것으로 예상한다.

4 단 이지만 상기 8 단과 비교했을 때 이득차이가 별로 없다.

 

아래 보는 바와 같이 위상은 비교적 잘 정렬된다. (실제로는 약간 회전한다)

etc-image-5


3.  동축 케이블 VF 1.0 코리니어 4 단 시뮬레이션

 

유천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VF 1.0 동축 구조를 가상으로 만들고 시뮬레이션 했으나 결과적으로 0.9 정도의 단축률이 발생했다.   이 정도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실제로 "구성" 가능하다.

etc-image-6

 

AGT 테스트에서 +0.35 가 나왔으므로  시뮬레이션상 실제 이득은 6.07 dBi 를 예상한다. 

 

맨아래 엘레먼트에서 다소 심한 위상변화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양호하다.

전술한대로 실제 설계값은 1GHz 였지만 공기임에도 불구하고 약 0.9 부근의 단축률이 발생하였다.

외부 직경은 10mm 길이는 150mm 이다. (실제로 케이블 사용하지 않고 동파이프 등으로 이 방식의 안테나를 만들기도 한다)

VHF 2 미터 밴드용으로 만들면 0.9 x 4 소자로 약 3.6 미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etc-image-7

 


3.  VF 0.7  동축 코리니어 4 단 시뮬레이션

 

위와 완전히 동일한 치수와 구조에서 중심도체 단축률(유전율)을 약 0.7 (VF 속도계수 0.7) 로 지정한 것이다.

최대 이득 주파수는 약 710MHz 까지 내려간다. 물리적 길이는 그대로이지만 주파수가 내려갔으므로 이득의 감소는 예상할만 하지만 패턴의 예리함 역시 사라진다. 최종 이득은 1 dB 가까이 하락한다.

 

아래는 VF 0.9 와 VF 0.7 의 비교이다.

etc-image-8

 

AGT 는 0.57 dB 가 나왔으므 5.64 - 0.57 로 이득은 약 5.07 dBi 이다.

VHF 2 미터 밴드용으로 만들면 0.7 x 4 소자로 약 2.8 미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etc-image-9


전류 분포를 보면 (물론 이것은 시뮬레이션에 의존한 해석이다)  대부분 중심도체에 전류분포가 몰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외부 도체가 여러개의 도선으로 구성되어 전류가 분산되므로 발생한 착시인 것으로 보인다. 

 

etc-image-10


여기까지 정리하자면..

 

1. COCO 안테나가 비슷한 단수의 수직 안테나 (예를 들면 3단 GP 같은)와 같은 이득을 낼 것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2. 급전부에 바룬을 사용하지 않으면 제 성능을 낼 수 없다. 

3. 급전부에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할 것이다.

4.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중요치 않으며 Vf 가 주요 변수이다.

5. 가능한 VF 가 높은 저손실 케이블을 사용한다. (VF 0.67 RG-58 의 경우 비추천)

6. 단수를 늘려도 기대하는 만큼 이득을 얻기는 힘들지만 어쨌건 이득은 있다.

 

자유공간 시뮬레이션 각각의 이득 

 

동축 8단 RG-6  7.48 dBi 

동축 4단 VF 0.9  6.07 dBi 

동축 4단 VF 0.7  5.07 dBi

 

GP 안테나 약 2 dBi

상업용 3단 GP 안테나 8.3 dBi 

2단 수직 코리니어(코일 사용) 4.9 dBi  - 동축 4단 VF 0.7 과 비슷

4단 수직 코리니어(코일 사용) 7.75 dBi  - 동축 8단 RG-6 와 비슷.

 

※ 도체 및 유전체 손실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단축율만 고려된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