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판 콘트롤 테스트 동영상
- 파이썬으로 간단하게(그러나 복잡하게-_-) - 콘트롤은 프린터 포트로- 화면상의 일부 영역을 LPT 로 출력하는 방식. 블로그 로고이퀼라이저 퍼나르기간단 시계 퍼나르기
- Design/Display
- · 2010. 1. 25.
인터넷에 떠다니는 회로를 PSPICE 로 시뮬레이션한 것 입니다. 3 TR 과 3 Diode 그리고 1 coil 을 사용한 1.5V to 9V 였는데, 충전지인 1.24V 에서 작동하도록 값들을 약간 조정하였습니다. 저전압이기 때문에 1.5 하고 1.24 는 천지차이 입니다. 시뮬레이션 상에서는 약간의 리플을 포함하여 9V, 18mA 출력에 대응 합니다.(아래 도표참고) 또 다른 경우에는 3.6~4.5v 사이의 LED 를 배터리 한개로 켠다던가 하는 용도로 바꿔서 쓸 수도 있겠지요. 양산할 경우에는 TL499 같은 IC 를 쓰면 가격문제가 걸려서 아래와 같은 회로를 쓰겠지만.. 직접 제작할 경우에는 TR 의 특성 편차로 인해 작동을 안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려면 전용 IC 사서 쓰는..
* 이 글들은 우리가 입수 할 수 있는 문서화된 자료들이 이해하기 어렵기에 제가 쉽게 펼쳐 쓰는 내용 입니다. 먼저 역률 문서를 읽어 주세요. 임피던스는(Impedance) 교류저항이라고 앞서서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럼 직류저항과 교류저항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해해 봅니다. 직류저항(Resistance)은 그냥 영문 R 로 표시 합니다. 교류저항(Impedance)은 영문 Z 라고 씁니다. 그냥 봐서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Z 의 구성은 두가지 값으로 되어 있습니다.즉, Z 는 직류저항 R 과 리액턴스 X 라는 녀석의 합입니다. 그래서 다른 표기로 R + X 로도 표시 합니다. 여기서 새로 등장한 X 는 리액턴스(Reactance:유도저항) 라고 합니다.우리가 실제 세계에서 보는 콘..
글 내용이 오래되어 새로운 내용을 추가합니다. https://ds1orj.tistory.com/204 임피던스 와 임피던스 크기 그리고 역률 보통 임피던스는 Z = R + X 또는 Z = R + j 형태로 표기된다. 우리는 임피던스 Z 가 "교류저항" 임을 이미 알고 있다. 즉, Z 가 1 옴 이라면, 일반적인 저항 1 옴과 같은 것처럼 보인다. 아래처럼, 캐패시 ds1orj.tistory.com 모든 책이나 자료에서 역률에 대한 설명은 어딜 봐도 똑같습니다. 전압과 전류에 위상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 여기서는역률 이라는 것이 어떻게 발생하고 그것으로 인해 어떤문제가 발생 하는지에 대해 설명 합니다. 먼저...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인 W = I * E 으로 계산된다는 점을 상기 합니다. 그림 1, 1..
- 파이썬으로 간단하게(그러나 복잡하게-_-) - 콘트롤은 프린터 포트로- 화면상의 일부 영역을 LPT 로 출력하는 방식. 블로그 로고이퀼라이저 퍼나르기간단 시계 퍼나르기
프로그램은 거의 다 완성16*16 이라 한글은 별로 안예뻐서 패스다시 한번 느끼는 거지만.. 단순히 알고 있다는 것과, 그것을 직접 만든다는 것은 천지차이다.생각보다 꽤골아프다. 아래는 어제 작업하던 사진들옛날에 옥션에서 중고로 사둔 전광판 8*8 매트릭스 4개씩 4개.. 그러니까..다시 말해 16*16 씩 4개 독립구동어디에 쓰던건지 모르지만 매트릭스 상태도 그럭저럭 괜찮고 휘도도 그럭저럭. 콘트롤러 만들기 전에 프린터포트(LPT)에 연결하고 프로그램 짜서 테스트 중이다. 작동은 잘 된다. 소모전력은 5.0V 600mA 정도(3W 부근)X 표시인 것은 아직 비트맵 매트릭스 만들 단계는 아니라서알아보기 쉬운 도안을 소스레벨에서 직접 하드코딩 했다.타겟은 PIC에 Serial EEP예상한다.귀찮으면안쓰는 ..
의외로 많이들 보신거 같은데(대체 어디서 보고들 오시는지 ㅋㅋ)훨씬 방대한 데이터를 가진 http://www.repairfaq.org의 자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윗 사이트를 제가 최근에 올려서 아직 많은 분들이 모르시나 보네요. 해당 사이트를 보실 때 인코딩을 UTF-8 이나 유럽어로 맞춰 주세요.아래에서 레이저 관련 자료(방대함)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repairfaq.org/sam/lasersam.htm 다이오드 레이저 관련 파워 공급은아래서 보세요.http://www.repairfaq.org/sam/laserdps.htm#dpsadl1LD 구동 회로는 아래를 눌러보시면 잔뜩 있습니다. http://www.repairfaq.org/sam/laserdps.htm#dpscld가장 간..
다녀가는 분들은많은데, 블로그가 영 조용하네요..allaboutcircuits.com에 있는 트랜지스터 바이어스에 대한 문서중 마지막부분 입니다.이거 말고도 해당 사이트에 좋은 내용이 많아요, 꼭 한번씩들 보시고..자료를 수집하다가다수에게 유용하다 싶은 자료들을알아먹기 쉽게(한글화 혹은 요약)작업해서 올리고 있습니다.FET 의 바이어스도 있었으면 작업을 해둘텐데, 아쉽게도 해당 사이트에는 FET 에 대한 내용은 아직 비어있네요.다른데서라도 찾아서, 이 문서 다음 문서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이건 시간 좀 걸릴 듯)만약에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완전히 이해하고 싶은데 뭐 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아래 순서대로 알아가시는게 편할 겁니다.HFE (DC 전류 증폭)에 대한 이해, On/Off 작동 설계, 저주파 증..
이해를 돕기 위해.. 스위칭 동작을 제외한 "증폭기" 의 바이어스 에서는 거의 99% 이상이 아래서 설명하는 이미터 저항을 이용한 부궤환 입니다.외부 온도의 변화 혹은 TR 의 HFE 값 차이 등으로 베이스 전류가 증가하면(이것은 설계자가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당연히 이미터와 컬렉터를 통해 부하로 흐르는 전류도 증가하고 이미터 내의 저항에 전압강하가 발생합니다.(즉 바이어스 전류가 설계치를 벗어나게 됨.) 이 전압강하의 방향은 베이스에서 볼때는 역전압(즉, 부궤환) 방향이므로, 결과적으로 베이스의 전류가 줄어들고이미터 전류의 변동(바이어스 전류)을 억제 시킵니다.따라서 목적을 달성(환경변화와 부품편차에 따른작동전류-바이어스- 편차) 할 수 있습니다.한가지 문제는,이미터에 저항기를 설치하면증폭 효율이 떨..
들어가기 앞서. 실리콘 트랜지스터로 0.7V 미만의 작은 신호(교류신호)는 증폭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일정전압(0.7V)이상 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지요. 전원을 연결하더라도 0.7V 이하의 신호로는 어떤 작동도 할 수 없다는 뜻 입니다.당연한 얘기지만 이러면 수십mV 이하의 소신호 증폭은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0.7V 이상의 전압 + 증폭할 신호전압을 베이스에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 때 사용하는 테크닉이 바로 "bias" 이고, 일반적으로 "바이어스를 건다" 라고 표현 합니다.아주 간단한 것은 베이스에 단 1개의 저항으로 구성 가능 합니다. (고정 바이어스 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절대값으로 해버리면 전압,전류,온도, 거기다가 제조..
3. SMALL SIGNAL CHARACTERISTICS(소신호 특성)소신호 특성은 트랜지스터의 AC(교류) 성능을 기술한다. 소신호에 대해 표준화된 산업적 정의는 없다.(대신호에 비해) 그러나 일반적으로 AC 신호는 DC 바이어스 전압에 비해 작게 정의된다. 다시 말해, 신호 크기는 트랜지스터의 선형 작동 영역의 충분히 안쪽에 있다.소신호 특성은 아래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1) gain bandwidth product (Ft) (차단주파수, 역주: 신호증폭률이 1이 되어버리는 지점의 주파수 값을 말함) 2) the AC current gain (hfe) (AC 전류 증폭률) 3) input and output impedances (입 출력 저항) (hie and hoe) 4) input and 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