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특히 HF 안테나에서 가장 중요한 지면(Ground) 에 대해 설명한다. 이전 게시물에서 GW, EX 명령 및 세그먼트에 대해 기술했다. 지면은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작동하므로 "지면은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된다" 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며 실제 안테나가 설치된 곳의 지면을 얼마나 잘 묘사 하느냐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가 달라진다. 지면의 묘사에 사용되는 명령(카드)은 GN (Ground Parameters) 이다. GN 지정이 따로 없으면 안테나는 자유 공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GN 은 다른 명령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므로 기존 파일의 GE 명령 다음에 끼워 넣으면 지정된다. ※ 참고로 GW 가 끝남을 알리는 GE 명령에 접지면을 사용할 경우 1 을 ..
4NEC2 는 NEC 기반의 안테나 설계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NEC 는 ( Numerical Electromagnetics Code ) 라고 한다. 1970 년대에 개발된 포트란 프로그램으로 그 당시 메인프레임에서 천공카드로 입력을 받아 작동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Numerical_Electromagnetics_Code 이해를 돕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4NEC2 다운로드 https://www.qsl.net/4nec2/ 4nec2 antenna modeler and optimizer www.qsl.net 4NEC2 기본 사용법 KA6WKE 작성 https://leanpub.com/4nec2definitiveguide/read NEC2 명령어 및 메뉴얼 h..
여기서는 AT-120, AT-130 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블럭도는 아래와 같다(AT-120) 컨트롤 라인은 4 가닥이 사용되는데 두개는 전원선이고 나머지 두개는 튜너의 컨트롤 라인이다. 컨트롤 라인은 리그와 협업하여 작동한다. ※ 튜너 측 작동은 아래와 같다. START 라인은 입력이고 HIGH 로 풀업 되어 있다. START 라인에 LOW 신호가 들어오면 튜닝을 준비하고 KEY 라인을 "LOW" 레벨로 만든다. 상기 작동에서 START 라인이 튜닝 중 지속해서 LOW 레벨로 유지될 필요는 없으며 튜너에 따라 일정시간 (50~200ms 이상) 만 LOW 레벨을 주면 된다.(즉 튜닝 개시 LOW 펄스 신호) ※ 리그 측 작동은 아래와 같다. 튜닝 스위치를 누르면(또는 자동으로) 튜너에 연결된 START ..
우리가 전자회로에 관심이 있는 것처럼 해외에도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아주 큰 기여를 하기도 하는데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기여 프로젝트 중 하나인 "트랜지스터 테스터" 프로젝트에 대해 기술한다. 아래는 중국에서 대량 복제되어 팔리는 제품들이다(그 중 하나는 내가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다) 설계시 BJT, FET 의 기본적인 특성(HFE, 스레시홀드 전압 등)을 측정하거나 불량 판별 등의 용도에 아주 유용하다. 저렴한 가격에 중국에서 잘 만든 제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지 모르지만 이것은 중국에서 만든 것이 아니고 Mikrocontroller.net 이라는 포럼에서 시작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복제품이다. ※ 사족 : 글쓴이의 기억에, 비슷한 시기에 PIC 기반..
안테나 길이에는 간단한 선택 공식이 있다. ※ 엄밀히 말해서 안테나 엘레먼트와 급전점 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다이폴은 두개의 1/4 파장 사이에 급전부가 있다. 1/2 파장 다이폴 이라고 부르지만, 실상은 1/4 파장 안테나가 두개 연결된 것이다. 1/4 파장 적당한 임피던스의 순저항 성분(약 36.5옴)이며 대부분 이 길이를 사용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Monopole_antenna 다이폴, 1/4 파장 GP 안테나, 일반적인 레디얼 길이 등 대부분의 안테나에 해당. 1/2 파장(그리고 배수, 엔드피드 안테나) 임피던스가 최고로 높은 지점이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을 기피한다. 아래는 위에 설명을 그래프로 보인다 AA5TB 오엠의 모노폴 길이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그래프..
흔히 딥미터 라고 하는 그리드 딥 미터는 예전에는 아마추어 햄 이라면 일종의 필수 장비였지만 현재는 딥미터가 없어도 대용 할 수 있는 많은 측정기(VNA, 안테나 아나라이저)가 있다. 아나라이저 포트에 코일을 몇턴 감아서 연결하고 측정대상(트랩 및 코일 등)에 가까이 가져가면 공진점에서 딥(SWR 또는 반사손실이 줄어드는 지점)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딥미터는 더이상 필수 장비가 아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딥미터 라는 것은 만들어서 사용 가능한 몇 안돼는 "측정기" 이므로 실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여전히 그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는 쓸만한 딥미터 회로들을 소개하고, 일부 테스트된 결과를 제시한다. 첫번째 소개는 단순하고 완벽한 SM0VPO 의 딥미터 회로이다. http://sm0v..
이 글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1:1 전압바룬의 작동을 시뮬레이션 해본다. 이 바룬의 와인딩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으로 선정했다.시뮬레이션 조건은 이전 전류 바룬과 동일하게 계산 편의성을 위해 10MHz 10V 100mA 를 가정한다.(0.5W 출력)코일의 저항(손실)은 0.01옴, 결합계수는 1.0 으로 이상적인 바룬을 가정한다. 먼저 이상적인 밸런스 부하 상황을 본다. 전류 바룬과는 다르게 밸런스 부하(정상적인 상황)에서도 L1 에서 L3 로 전력을 1/2 전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이 상황에서 L2 는 거의 일을 하지 않는다. 전력 소스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인데..이것은 항상 1/2 전력이 코어를 통과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코어의 특성이 좋지 않을 ..
아마추어무선을 하다 보면 이해하기 쉬운 것도 있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잘못 알려진 것들이 꽤 많은데, 그 중 하나는 "바룬의 작동" 이다. 여기서는 1:1 전류 바룬의 작동을 시뮬레이션과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바룬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한다.https://ds1orj.tistory.com/170 바룬의 성능 측정 방법, 발룬, Balun, 밸런국내에서 바룬의 성능 측정은 대부분 SWR 에 의존하고 있는 듯하다. 이 방법은 안테나측에 더미로드(1:1 의 경우 50옴, 1:4 의 경우 200옴 저항 등)를 배치하고 입력에 아나라이저를 물려서 측정한ds1orj.tistory.com ※ 또한 전류 발룬은 TLT 로 작동하므로 TLT 에 대한 개념은 아래를 참..
자유공간 하에서의 다이폴 지향성 패턴은 다음과 같다. 아래는 1/2 파장 다이폴(실선), 그리고 그보다 짧은 경우의 패턴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Dipole_antenna Dipole antenna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ntenna consisting of two rod shaped conductors Animated diagram of a half-wave dipole antenna receiving a radio wave. The antenna consists of two metal rods connected to a receiver ..
국내에서 바룬의 성능 측정은 대부분 SWR 에 의존하고 있는 듯하다. 이 방법은 안테나측에 더미로드(1:1 의 경우 50옴, 1:4 의 경우 200옴 저항 등)를 배치하고 입력에 아나라이저를 물려서 측정한다. 이 측정은 바룬의 "임피던스 변환" 에 대한 정보는 알려주지만, 정작 바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평형 불평형 변환(Balance to Unbalance) 성능은 알려주지 않으므로 성능 평가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래부터 측정방법과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측정에 대한 방법은 W8JI 오엠이 잘 정리해 두었다. https://www.w8ji.com/balun_test.htm Test, measure balun, and compare antenna baluns or balumsBa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