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편의상 존칭은 생략합니다. 4:1 발룬은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생각되는 것은 아래 DJ0IP 오엠이 올린 자료에 나와 있다. (DJ0IP 사이트에는 이외에도 훌륭한 자료가 많음) https://www.dj0ip.de/balun-stuff/1-vs-2-core-baluns/ 권선 방식은 완전히 동일하고 코어가 나뉘어 있는지 한개로 감는지 차이이다. 단, 아래쪽은 발룬으로 작동하지만 윗쪽 단일 코어로 감은 것은 코어의 자속을 공유하게 되므로 공통모드 전류가 흐르고 CMC 차단 능력이 저하(전류 발룬으로 제대로 작동 안함) 된다.(관련 이론은 인터넷 검색)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론상" 금속 분말 코어에 감으면 자속 공유가 거의 안돼므로 어느정도의 공통모드 전류 차단이 가능할..
속도를 알 수 없는 자동차가 있습니다. 독일에서 만들었고 빨리 달릴 수 있으니 좋은 차라고 합니다. 너도 나도 그 차를 삽니다. 제가 묻습니다.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습니까? 그냥 독일에서 만들었고 속도가 잘 나오니 좋은 차라고 합니다. 얼마나 빨리 달리는지 아무도 모르는데 좋은 차 인지 나쁜 차 인지 알 수가 있습니까? 그 차가 시속 얼마로 달릴 수 있는지 알아야 다른 차보다 빠른지 느린지 알 수 있고 그 차보다 더 빠른 차도 만들 수 있습니다. ------------------------------------------------------------------------------------ 설명 편의상 존칭은 생략합니다. 전술한 64:1 바룬의 글에서 back to back 의 개념을 알았다면 ..
코어 및 64:1 바룬에 대해 설명합니다. 설명 편의상 존칭은 생략 합니다. 이 글에서는 코어의 특성과 64:1 바룬의 와인딩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가 흔히 보는 코어는 덩어리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래와 같이 미세한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 알갱이 사이는 일종의 공극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주파 코어의 작동방식은 "도란스" 라고 부르는 일반 철심코어와는 상이하게 다르다. 철심 코어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잘 작동하겠지만 고주파용 코어는 자속이 누설 되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특히 RF 용 금속 분말 코어의 경우에는 거의 공심코어 수준으로 자속을 전달하지 않으므로 이런 류의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단일 권선의 인덕터 또는 초크 용으로만 주로 사용됨) 이런 관계로 고주파용 토로이드 코어를 ..
이 글에서는 1:1 초크바룬(전류바룬의 한 형태)에 대해 개념적으로 설명합니다.초크바룬은 CMC 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류바룬의 한 형태 입니다.(CMC 의 개념 참고)편의상 존칭은 생략합니다. 과연 세개 중에 어느 바룬이 제일 우수한 바룬인가? SWR 만 으로는 첫번째 바룬이 제일 좋다. 초킹 임피던스의 측면에서는 많이 감긴 세번째 바룬이 제일 좋아보인다.SWR 의 측정만으로는 1:1 바룬의 성능을 확인 할 수 없다.SWR 을 측정하고 바룬의 성능으로 제시 한다면 이것은 넌센스이다. 측정치가 존재하지 않는 수 많은 바룬의 디자인이 인터넷에 존재하고 제작되고 판매된다.이런 바룬들은 또다시 확대 재생산 되고 그 디자인이 진리로 받아들여진다. 이 글에서는 1:1 바룬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과 ..
이 글에서는 CMC(Common Mode Current : 공통모드전류) 에 대한 개념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자유공간에 배치된 파장의 1/2 길이의 다이폴 안테나 환경을 가정합니다. 편의상 존칭은 생략 합니다. 자유공간 하에 배치된 안테나에 리그를 직접 연결한 상황을 가정한다. 전원은 배터리로 공급된다. 공급되는 모든 전력은 안테나를 통해 방사된다. 다소 멍청한 생각이지만 수직 엘레먼트를 추가했다고 생각해본다. 전류는 각 엘레먼트에 대해 나눠져서 흐른다. 일부는 수직으로 일부는 수평으로 나가며 이 안테나는 수직도 수평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가 된다. 부수적으로 다이폴의 방사패턴을 심각하게 왜곡시킨다. 엘레먼트가 늘어나면 더 많이 나갈거라 생각할지 모르지만 100W 를 공급하고 150W 가 ..